n개의 음이 아닌 정수들이 있습니다. 이 정수들을 순서를 바꾸지 않고 적절히 더하거나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들려고 합니다. 예를 들어 [1, 1, 1, 1, 1]로 숫자 3을 만들려면 다음 다섯 방법을 쓸 수 있습니다.
-1+1+1+1+1 = 3
+1-1+1+1+1 = 3
+1+1-1+1+1 = 3
+1+1+1-1+1 = 3
+1+1+1+1-1 = 3
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담긴 배열 numbers, 타겟 넘버 tar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숫자를 적절히 더하고 빼서 타겟 넘버를 만드는 방법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주어지는 숫자의 개수는 2개 이상 20개 이하입니다.
- 각 숫자는 1 이상 5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타겟 넘버는 1 이상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입출력 예
numberstargetreturn
[1, 1, 1, 1, 1] | 3 | 5 |
[4, 1, 2, 1] | 4 | 2 |
입출력 예 설명
입출력 예 #1
문제 예시와 같습니다.
입출력 예 #2
+4+1-2+1 = 4
+4-1+2-1 = 4
- 총 2가지 방법이 있으므로, 2를 return 합니다.
DFS 이용 풀이
using System;
using System.Collections.Generic;
public class Solution {
static int Dfs(int[] arr, int idx, int num, int target)
{
if(idx == arr.Length)
{
return num == target ? 1 : 0;
}
else
{
return Dfs(arr, idx + 1, num + arr[idx], target) + Dfs(arr, idx + 1, num - arr[idx], target);
}
}
public int solution(int[] numbers, int target) {
return Dfs(numbers,0,0,target);
}
}
후기
이 문제를 통해 DFS 개념을 어느 정도 잡게 됐다.
위 답은 직접 구현한 것이 아닌 다른 이의 풀이 중 가장 간단한 풀이를 가져온 것.
원리는 같지만 불필요한 변수 없이 구현했다는 점에서 더 좋은 코드로 보였다.
// DFS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 이해하기는 좀 더 어려운 코드였지만..
DFS 공부 시 문제를 보고 직접 적어가면서 익히는 것이 이해가 빠른 것 같다.
위 문제도 처음엔 아이디어도 떠오르지 않았는데 관련 문구에 DFS가 있어서 DFS를 공부하고,
그 후 직접 그림을 그려가며 생각하다보니 아이디어가 떠올랐고, 구현에 성공했다.
코드가 이해가 안가시는 분은 직접 디버깅해보면서 종이에 함수 호출 구조를 그려 보시길 바란다.
'프로그래머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- 공원 산책 풀이(Python) (1) | 2023.04.30 |
---|---|
프로그래머스 - 달리기 경주 풀이(Python) (0) | 2023.04.29 |